프로덕트 스페이스
  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  • WEB
      • SQL
      • 짧데이터
      • 참고자료
    공지사항
    방명록
    HTML 메타태그 개념 및 종류 정리WEB / 2022. 6. 4. 16:37

     

     

    메타태그

    HTML 에는 메타 데이터가 들어가는  <head> 와 웹페이지에 표시될 컨텐츠 데이터가 들어가는  <body> 태그가 있습니다.

    <head> 에 들어가는 메타 데이터는  <메타 태그> 로 작성됩니다.

     

    <meta> 태그에는 연결된 CSS 등 문서, 파비콘 (Favicon), 페이지 제목 ,  언어 등

    본문에 표시될 필요는 없지만 웹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들이 포함됩니다.

     

    보통 메타 태그는 웹페이지에 표시되지 않지만,

    파비콘 과 페이지 제목 은 아래 이미지처럼 웹페이지의 본문 외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메타태그의 속성

    <meta> 태그에는 기본적으로 charset , http-equiv , name , content 의 4가지 속성이 있습니다.

    속성은 모두 다 입력할 필욘느 없고, 필요한 값만 입력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charset

    <meta charset="utf-8"> 은 웹의 데이터를 utf-8 로 인코딩하도록 명시합니다.

    한글과 기타 내용이 잘 나오게 하기 위해서, 대부분 utf-8 을 사용하게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http-equiv

    http-equiv 는 브라우저, 캐시, 등 컨텐츠 속성에 명시된 값에 대한 HTTP 헤더를 제공합니다.

    만약 http-equiv 속성이 명시되어 있다면, 반드시  content 속성도 함께 명시되어야만 합니다.

     

    관련된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    <!-- 호환성표기로,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렌더링 엔진 선택 -->
    <meta http-euq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/>
    
    <!-- 특정 정보 명시 -->
    <meta http-equiv="Copyright" content="" /> 
    언어뜻 그대로 저런 정보들을 담을수 있다.
    
    <!-- 캐시 컨트롤 -->
    <meta http-equiv="cashe-control" content="no-cashe"/>
    <meta http-equiv="Pragma" content="no-cache"/>
    
    <!-- 캐시 만료일 경과시 사용하지 않고, 서버에서 로드>
    <meta http-equiv="expires" content="mon,08,may 2025 12:00">
    
    <!-- 60초마다 페이지 리프레쉬 -->
    <meta http-equiv="refresh" content="60"/> 
    
    <!-- 10초 후에 프로덕트 스페이스로 이동 -->
    <meta http-equiv="Refresh" content="10; url=https:://prd-space.tistory.com" />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name

    name 속성에서는 SEO 를 위한 정보부터,  뷰포트 (모바일 기기의 너비 및 높이) 등 다양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 

    대표적인 name 속성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    <!-- 모바일 기기 뷰포트 설정 --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",initial-scale=1.0/>
         
    <!-- 모바일 기기 줌인/아웃 설정 --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,
    minimum-scale=1.0, maximum-scale=3.0"/>
    
    <!-- 검색엔진 디스크립션 -->
    <meta name="description content="프로덕트 스페이스입니다."/>
    
    <!-- 검색엔진 키워드 -->
    <meta name="keywords" content="프로덕트, 스페이스"/>
    
    <!-- 검색엔진 로봇 설정 -->
    <meta name="robots" content="all"/>
    <meta name="robots" content=""index,follow"/>
    <meta name="robots" content="noindex, nofollow"/>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content

    content 속성은 말 그대로, 앞에 명시한 다른 속성에 대한 컨텐츠를 나타냅니다.

     

    예를 들어, 아래의 예시는 똑같이 name="robots" 에 대한 태그이지만,

    content="index,follow" 는 웹페이지를 인덱싱 및 수집하도록 명시하는 것인 반면

    content="noindex,nofollow" 는 웹페이지를 인덱싱 및 수집하지 않도록 명시하는 것입니다.

    <!-- 검색엔진 로봇 설정 -->
    <meta name="robots" content="all"/>
    <meta name="robots" content=""index,follow"/>
    <meta name="robots" content="noindex, nofollow"/>

     

     

    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HTML 카카오, 트위터, 페이스북 등 OG태그 설정  (0) 2022.06.04
    COMMENT

TOP

티스토리툴바